다르다넬스 해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르다넬스 해협은 에게해와 마르마라해를 연결하는 해상 수로로, 흑해에서 지중해, 대서양, 인도양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국제 수로이다. 터키 차나칼레 지역에서 유래된 '차나칼레 해협'으로도 불리며, 흑해와 지중해를 잇는 유일한 수로 중 하나로 상업적,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고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트로이 전쟁의 무대가 되기도 했다. 1915년 갈리폴리 전투의 무대가 되었으며, 1936년 몽트뢰 조약에 따라 터키가 해협 통제권을 갖게 되었다. 2022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인 차나칼레 1915 다리가 개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키예의 해협 - 보스포루스 해협
보스포루스 해협은 흑해와 마르마라해를 잇고 이스탄불을 관통하며 유럽과 아시아를 나누는 약 30km 길이의 해협으로,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역사적 각축지였으며 현재는 상선 자유 항행이 보장되는 관광 명소이자 수중 채널이 발견된 곳이며, 교통량 분산을 위한 운하 건설이 추진 중이다. - 튀르키예의 해협 - 터키 해협
터키 해협은 흑해, 에게해, 지중해, 대서양, 인도양을 연결하는 국제 수로이며,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으로 구성되고, 고대부터 전략적 요충지로서 여러 조약을 통해 관리되어 왔다. - 다르다넬스 해협 - 다르다넬스 대포
다르다넬스 대포는 1464년 오스만 제국에서 제작되어 정복 전쟁과 공성전에 사용되었으며, 16.8톤의 무게로 돌덩이를 발사할 수 있었고, 1866년 영국에 선물되어 현재 포트 넬슨에 전시되어 있다. - 다르다넬스 해협 - 라프세키
라프세키는 기원전 6세기에 그리스인들이 건설한 도시로, 다르다넬스 해협에 위치하며 농업, 어업,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벚꽃 축제, 레슬링 대회, 차나칼레 1915 다리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다. - 차나칼레주의 지형 - 괴크체아다섬
괴크체아다섬은 에게해에 위치한 터키령 섬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지배를 거쳐 터키에 할양되었으며, 다르다넬스 해협과 가까운 군사적 요충지이며, 터키인과 그리스인이 함께 거주하지만 지진의 위험이 있는 지역이다. - 차나칼레주의 지형 - 마르마라해
튀르키예 내에 위치한 마르마라해는 다르다넬스 및 보스포루스 해협을 통해 에게 해, 흑해와 연결되며, 마르마라 섬을 포함한 여러 섬이 있고 환경 오염 문제에 직면해 있다.
다르다넬스 해협 | |
---|---|
지리 | |
위치 | 터키 북서부 |
좌표 | 40.2° N 26.4° E |
일부 | 터키 해협 |
유형 | 해협 |
길이 | 61km |
최소 폭 | 1.2km |
최대 폭 | 6km |
명칭 | |
한국어 | 다르다넬스 해협 |
터키어 | Çanakkale Boğazı (차나칼레 보아즈, 차나칼레 해협) |
그리스어 | Δαρδανέλλια (다르다넬리아) |
고대 그리스어 | Ἑλλήσποντος (헬레스폰토스, 헬레의 바다) |
영어 | Dardanelles, Strait of Gallipoli (갈리폴리 해협) |
기타 | |
별칭 | 겔리볼루 해협, 비가 해협 |
수심 | 최대 103m 최소 55m |
2. 명칭
현대 터키어 명칭은 차나칼레 해협(Çanakkale Boğazı)이며, 해협 인근 도시 차나칼레에서 유래했다. 차나칼레는 '도자기 요새'라는 뜻이다. 영어 명칭은 다르다넬스 해협(Dardanelles)이며, 이는 오스만 시대 해협 양쪽에 있던 성들을 합쳐 부르던 이름에서 유래했다.[1][2] 다르다넬스는 고대 도시 다르다누스에서 유래했으며, 다르다누스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 다르다누스의 이름에서 따왔다.
다르다넬스 해협은 에게해와 마르마라해를 잇는다. 마르마라해는 보스포루스 해협을 통해 흑해와 연결되고, 에게해는 지중해와 연결된다. 따라서 다르다넬스 해협은 흑해에서 지중해, 지브롤터 해협을 거쳐 대서양, 수에즈 운하를 통해 인도양까지 이어지는 중요한 국제 수로 역할을 하며, 특히 러시아에서 오는 상품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5]
흑해와 지중해를 잇는 유일한 수로 중 하나인 다르다넬스 해협은 상업적 및 군사적 측면에서 항상 매우 중요한 곳이었으며, 오늘날에도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포함한 많은 국가들에게 주요 해상 접근로 역할을 한다.
고대 그리스어 명칭은 헬레스폰토스(Ἑλλήσποντος)이며, "헬레의 바다"라는 뜻이다. 그리스 신화 속 헬레가 이 해협에서 익사했다는 전설에서 유래했다.[4]
3. 지리
해협의 길이는 약 61km, 폭은 1.2~6km이며, 평균 수심은 55m이다. 차나칼레(Çanakkale) 앞바다의 나라 부르누(Nara Burnu) 부근 가장 좁은 곳의 최대 수심은 103m이다.[5]
다르다넬스 해협은 매우 좁고 구불구불하여 강과 유사한 형태를 띠며, 세계에서 가장 항해하기 어렵고 위험한 수로 중 하나로 꼽힌다. 흑해와 마르마라해의 조류 때문에 범선은 다르다넬스 해협에 진입하기 전에 적절한 조건을 기다려야 했다.
해협의 길이는 약 61km이지만, 폭은 1.2km에서 6km에 불과하다. 수심은 최대 103m, 평균 55m이다. 표층수는 마르마라해에서 에게해로 흐르고, 저층수는 반대 방향으로 흐른다.
가장 좁은 곳에는 길이 약 3.7km에 달하는 터키 최대의 현수교 차나칼레 1915 다리가 건설되었다.[18]
4. 역사
이 해협은 고대부터 전략적으로 중요한 요충지였다. 트로이 전쟁은 이 해협의 아시아 쪽 땅에서 벌어졌다. 아케메네스 제국의 크세르크세스 1세와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각각 해협 반대편으로 원정하기 위해 이 해협을 건넜고, 오스만 제국의 오르한이 비잔티움 제국의 요하네스 6세 칸타쿠제노스 황제의 요청을 받아 처음으로 유럽에 건너간 것도 이 해협이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은 이곳에 함대를 창설했고, 제국이 동지중해의 패권을 장악하는 데 있어서도, 수도 이스탄불을 남쪽으로부터 방어하는 데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지역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5년, 연합군은 오스만 제국의 수도 공격을 목표로 다르다넬스 해협 공격 작전을 실시했지만, 갈리폴리 전투에서 무스타파 케말이 이끄는 오스만 군의 맹렬한 저항에 부딪혀 많은 희생자를 내고 실패로 끝났다.[11] 당시 영국 해군 장관 윈스턴 처칠은 3월 18일 작전 실패의 책임을 지고 일시적으로 정계에서 물러났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브르 조약(1920년)으로 해협 위원회에 주권이 이양되었지만, 몽트뢰 조약(1936년)에 따라 다시 터키에 해협 주권이 돌아왔다. 21세기 초에도 이 조약은 유효하다고 여겨지며, 해협을 항행하는 선박·함정 등에는 제약이 가해지고 있다.
4. 1. 고대 ~ 비잔티움 제국 시대
트로이 전쟁의 무대였던 고대 트로이아는 다르다넬스 해협의 서쪽 입구 아시아 쪽에 있었다. 페르시아 제국의 크세르크세스 1세는 그리스 원정을 위해 해협에 배다리를 건설했고, 마케도니아 왕국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해협을 건너 페르시아 원정을 시작했다.[6]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기원전 482년경 크세르크세스 1세는 아비도스에서 헬레스폰토스 해협 너비에 걸쳐 두 개의 배다리를 건설하여 그의 군대가 페르시아에서 그리스로 건너갈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두 다리는 모두 폭풍으로 파괴되었고, 제르크세스 1세(Xerxes I of Persia)는 다리를 건설한 책임자들을 참수하고 해협 자체를 채찍질했다고 한다.[7] 이후 하르팔루스라는 기술자가 배들을 서로 묶어 침략군이 건너는 것을 도왔다고 한다.
고대 그리스 신화의 헬레는 황금 양털 전설에서 다르다넬스 해협에서 익사했다고 전해진다.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는 다르다넬스 해협이 콘스탄티노폴리스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비잔티움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다르다넬스 해협 세관 통과 요금을 규정한 법령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4. 2. 오스만 제국 시대
다르다넬스 해협은 1354년 갈리폴리 점령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19세기 제국이 쇠퇴하기 시작할 때까지 해협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했다.
19세기, 러시아 제국은 해협의 통제권 확보 또는 접근 보장을 핵심 외교 정책 목표로 삼았다. 나폴레옹 전쟁 기간 동안 러시아는 대영제국의 지원을 받아 다르다넬스 작전에서 1807년에 해협을 봉쇄하기도 했다.
1833년, 오스만 제국이 1828-1829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패배한 후, 러시아는 오스만 제국에 훈키아르 이스켈레시 조약을 강요하여 흑해 외 지역 군함의 해협 통과를 금지시켰다. 이는 러시아에게 흑해에서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조약은 오스만 제국을 불안하게 만들었고, 결국 1841년 7월 런던 해협 조약에서 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프로이센은 러시아가 평화 시에는 오직 터키 군함만이 다르다넬스 해협을 통과할 수 있다는 데 동의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이후 영국과 프랑스는 크림 전쟁 동안 오스만 제국의 동맹국으로서 해협을 통해 함대를 보냈고, 크림 전쟁에서 러시아가 패배한 후 1856년 파리 조약은 런던 해협 조약을 공식적으로 재확인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5년, 연합군은 해협을 개방하기 위해 대규모 침공군을 파병했으나, 갈리폴리 전투에서 터키군은 연합군을 포위하여 격퇴했다. 이 전투는 당시 해군성 장관이었던 윈스턴 처칠의 경력에 큰 타격을 입혔고, 이후 튀르키예 공화국을 건국한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는 오스만 제국군 사령관으로 활약했다.
터키는 연합군 함선의 통과를 막기 위해 해협에 기뢰를 매설했지만, 영국과 오스트레일리아 잠수함 각 1척이 기뢰밭을 통과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영국 잠수함은 이스탄불 앞바다에서 낡은 터키식 전함을 격침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이안 해밀턴 경이 이끄는 지중해 원정군은 갈리폴리 반도 점령에 실패했고, 1915년 12월 철수했다.
전쟁 후, 1920년 세브르 조약은 해협을 비무장 지대로 만들고 국제 연맹의 통제하에 두었으나, 오스만 제국의 영토는 분할되었고, 터키의 해협에 대한 관할권은 제한되었다.
4. 3. 터키 공화국 시대
1923년 로잔 조약으로 터키 공화국이 건국되면서 다르다넬스 해협은 터키의 영토로 확정되었지만, 해협을 비무장화하고 모든 외국 군함과 상선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다.[10] 터키는 국가 안보 전략의 일환으로 이 조항을 거부하고 해협 지역을 재군사화했다. 1936년 7월 20일 몬트뢰 해협 조약으로 터키의 해협 통제권이 강화되었고, 흑해 연안국이 아닌 국가의 군함 통행이 제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터키는 중립을 유지하며 1945년 2월까지 교전국 선박에 대해 다르다넬스 해협을 폐쇄했다. 1946년 소비에트 연방은 터키-소련 공동 방위를 제안했으나, 터키는 미국의 압력으로 이를 거부했다.[10] 1952년 터키가 NATO에 가입하면서 해협의 전략적 중요성은 더욱 커졌다.
최근 터키 해협은 석유 산업에서 중요해졌으며, 러시아산 석유가 노보로시스크 등의 항구에서 보스포루스 해협과 다르다넬스 해협을 통해 서유럽과 미국으로 수출된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몬트뢰 조약에 따라 모든 외국 군함의 해협 통행이 금지되었다.[11]
5. 교통
다르다넬스 해협은 여객선, 차량 수송용 페리, 레저용 보트, 어선 등 다양한 선박이 통과하는 분주한 해상 교통로이며, 상업용 선박 운항량도 상당하다. 차나칼레 1915대교는 다르다넬스 해협을 잇는 다리로, 2022년 3월 18일에 개통되었다.[14] 이스탄불 서쪽과 동쪽을 연결하는 해저 케이블 시스템이 다르다넬스 해협을 가로지르며, 해협을 따라 설치된 기존의 광섬유 데이터 라인이 있다.[15]
5. 1. 해상 교통
다르다넬스 해협은 여객선, 차량 수송용 페리, 레저용 보트, 어선 등 다양한 선박이 통과하는 분주한 해상 교통로이다. 상업용 선박 운항량도 상당하다.5. 2. 육상 교통

차나칼레 1915대교는 아시아 쪽 차나칼레 지역의 랍세키(Lapseki)와 유럽 쪽 겔리볼루(Gelibolu) 지역의 쉬틀뤼체(Sütlüce) 마을을 잇는다.[13] 터키 국가 고속도로망 확장 계획의 일부로, 2017년 3월에 착공하여 2022년 3월 18일에 개통되었다.[14]
5. 3. 해저 시설
이스탄불 서쪽과 동쪽을 연결하는 400kV 전력 전송용 해저 케이블 두 시스템이 다르다넬스 해협을 가로지른다. 이 케이블들은 랩세키(Lapseki)와 쉬틀뤼체(Sütlüce)에 각각 육상 기지를 두고 있다. 해협 북동쪽에 있는 첫 번째 케이블은 2015년 4월에 가동되었으며, 해저 3.9km를 6상 400kV AC로 가로질러 2GW의 전력을 공급한다. 해협 중간쯤에 있는 두 번째 케이블은 2016년 6월 기준으로 건설 중이었으며, 첫 번째 케이블과 비슷한 용량을 제공할 예정이다.[15]두 해저 전력선은 해협을 따라 설치된 기존의 4개 광섬유 데이터 라인을 가로지른다.[15] 발표된 지도에 따르면, 이스탄불에서 지중해로 이어지는 메드노틸러스(MedNautilus) 통신 라인이 아테네, 시칠리아 등지에 상륙한다.[16]
참조
[1]
백과사전
Dardanellen
https://books.google[...]
1727-01-01
[2]
백과사전
Dardanelles
https://archive.org/[...]
1833-01-01
[3]
서적
The Central Balkan Tribes in Pre-Roman Times: Triballi, Autariatae, Dardanians, Scordisci and Moesians
Hakkert
1978-01-01
[4]
백과사전
[5]
서적
The Turkish Straits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17-08-01
[6]
웹사이트
The Persians
http://classics.mit.[...]
2003-09-26
[7]
서적
The Greco-Persian Wars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6-01-01
[8]
뉴스
Key facts of Gallipoli casualties
https://www.sbs.com.[...]
2024-11-14
[9]
웹사이트
Gallipoli casualties by country
https://nzhistory.go[...]
New Zealand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20-11-06
[10]
서적
The Truman presidency : the history of a triumphant succession
Macmillan
1966-01-01
[11]
웹사이트
Turkey closes the Dardanelles and Bosphorus to warships
https://www.navalnew[...]
2023-10-02
[12]
뉴스
Groundbreaking ceremony for bridge over Dardanelles to take place on March 18
http://www.hurriyetd[...]
2017-03-19
[13]
웹사이트
Project Information
https://www.1915cana[...]
1915 Çanakkale Bridge
2022-03-21
[14]
뉴스
Turkey opens record-breaking bridge between Europe and Asia
https://www.cnn.com/[...]
2022-03-19
[15]
학회발표
Submarine Cable Projects (2-03)
http://hro-cigre.hr/[...]
2018-04-08
[16]
웹사이트
Submarine Cable Map 2017
http://submarine-cab[...]
2018-04-09
[17]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2018-06-09
[18]
웹사이트
トルコ最長つり橋、日本勢退けSKなど落札
https://www.nna.jp/n[...]
NNA
2018-05-13
[19]
웹사이트
ロシア軍艦の海峡通航制限可能に トルコ
https://www.afpbb.co[...]
2022-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